Loading...
2019. 8. 22. 16:06

GCP 자격증 후기 - Google Certified Professional Cloud Architect

안녕하세요. 오늘은 Google Cloud Platform 자격증에 대해서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2개월 전, 저는 Google에서 주최한 Study Jam에 참가하게 되었는데요. What is Google Study Jam ? 구글 스터디잼은 구글에서 진행하는 스터디 지원 중에 하나로 2019년에는 Machine Learning, Cloud Platform을 중심으로 스터디가 진행되었습니다. 여기서 저는 ML Experienced와 Cloud Advanced 과정에 참여하였습니다. Why Join 2개월 전, 한창 Keras와 TensorFlow를 재미있게 하고 있을 때였습니다. Image Classification을 구현하고자 CNN을 구현하고 Keras로 러닝을 돌렸고, 이 때는 직접 구입한 서버를 ..

2018. 5. 30. 23:17

Serverless framework를 사용하여 더 쉽게 서버 배포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Serverless에 이어서 Serverless를 좀 더 쉽게 배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배포의 어려움지난 Serverless 포스트에서 AWS를 사용하여 FaaS를 직접 배포하고 서비스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둘째치고 한 번 코드를 업로드하여 서비스를 배포하는 데 많은 절차가 필요합니다. 게다가 코드 하나를 수정할 때마다 바로 배포가 되는 것은 좋은 경우지만, 직접 AWS Console에서 코드를 수정해야만 하고, 심지어 코드의 크기가 일정 크기를 초과할 경우 AWS Console에서 수정할 수 없는 상황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뭔가 더 쉽게 배포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저는 실제로 AWS를 사용하여 작은 형태의 카카오톡..

2018. 4. 23. 12:33

Serverless 시작해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Serverless에 대해 알아보고, AWS에 Serverless를 쉽게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erverless서버리스는 제가 요즘 자주 사용하고 있는 아키텍처 중에 하나입니다. 서버리스는 단어 그대로는 '서버가 없다' 라는 의미이지만 정말 서버가 없이 동작하는 것은 아니고, 우리가 실제 서비스를 하기 위해 가상머신이나 운영체제 환경을 구성하여 처리하지 않아도 서비스할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우리가 기존에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절차를 거쳐야 했습니다. 1. 서비스할 서버 준비2. 운영체제 설치3. 네트워크 환경 구축4. 인프라 관리 전산실을 생각하시면 쉬울 것 같습니다.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한 대의 서버로 시작하여 해당 서버에 운영..

2018. 3. 3. 11:44

API Gateway의 도메인을 내 도메인으로 설정하기

최근 저는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를 다루면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주로 사용합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는 여러 서비스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처음 다루기 쉬운 것은 바로 AWS(Amazon Web Service)이지 않나 생각합니다. Why AWS?클라우드 서비스에는 굉장히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제가 사용하려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IaaS, PaaS입니다. 실제로 제가 결산 포스트에도 올렸 듯이 Slack 메신저를 이용해서 블로그 방문자 수 데이터를 받는 일도 AWS를 이용해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Google Cloud Platform, Microsoft Azure)들도 존재하지만 처음 가입했을 때 1년 동안 천천히 이런 저런 서비스를 경험해보..